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행정학질문게시판

글 정보
제  목 죄송하지만 콥과 메이의 내부주도형 재질문드립니다..
등록일 2021-09-06 15:20:33 조회수 1,080

안녕하세요 카스파입니다.

내부접근형은 정책담당자들에 의하여 자발적으로 정책의제화가 이루어지는 모형으로 관료집단 내부에서 문제가 제기되어(간혹 결정자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외부집단에서 문제가 제기되어 이들이 정책결정자나 그 측근에 비밀리에 접근하여 은밀하게) 정책의제로 채택되는 경우입니다.

일반적으로는 동원형을 내부주도형으로 보지만 내부접근형을 광의의 내부주도형에 포함시키는 입장(정정길)도 있고, 내부접근형을 동원형과 구별하여 내부주도형으로 보는 입장(P.May)도 있습니다.

즉 내부->내부 뿐 아니라 간혹의 경우 외부->내부도 가능합니다.
이때는 문제마다 다른 선지들과 비교를 통해 다른 선지에 확실한 답이 있을 경우 이를 제외하는 식으로 상대적 접근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감사합니다.

 

재질문

책에 메이는 비정부집단 주도형을 되어 있어서 헷갈려서 재질문드립니다.Emotion Icon

콥과 메이의 주장은 비슷하다는 의미안가요 

아니면  콥은  내부→내부뿐만 아니라 외부→내부 둘다 인정하지만

메이는 외부→내부만 인정한다는 의미인가요?

글 정보
이전글 2022 최빈출 p266 2번
다음글 지방직 7급 동형모의고사 7회 6번에 3번선지

합격생조교7 (21-09-06 16:15)
안녕하세요 카스파입니다.

주로 Cobb&Ross의 모형에서 내부접근형은 정부 내부, 즉 행정관료가 의제설정을 주도한다고 하고(간혹 결정자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외부집단에서 문제가 제기되어 이들이 정책결정자나 그 측근에 비밀리에 접근하여 은밀하게), May의 모형에서는 의사결정자들에게 접근할 수 있는 영향력 있는 집단, 혹은 정책과 관련하여 특별한 지식이나 관심을 가진 집단에 한정하여, 이런 표현이 사용됩니다. 그러니까 둘의 미묘한 차이는 정부 내부이냐(콥) 관심집단 내부이냐(메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대로 엄격하게 기본서에 따라 엄격하게 구분할 경우 콥은 내부->내부/외부->내부 둘다 인정하고 메이는 외부->내부만 인정한다고 볼 수도 있으나, 실제 기출문제 출제자에 따라 이를 엄격하게 구분하지 않는 경우가 더 많기에 상대적으로 접근하라고 말씀드린 것입니다.
문제에서 메이인지 콥인지 입장을 확실하게 명시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명시하였다 하더라도 말씀하신 것처럼 엄격하게 구분하지 않는 경우도 있기에 이전 답변에서는 결국 둘을 비슷한 맥락으로 대략적으로 이해하고 문제를 푸실 때 상대적으로 접근해주시면 된다는 의도로 답변드린 것입니다.

계속하여 재질문하시는 부분들이 결국 상대적으로 접근해야하는 부분을 엄격하게 구분하려고 하셔서 나오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부분들은 헷갈리는 부분과 관련하여 기출문제를 풀다보면 어느 정도 선까지 알면되겠다 또는 이런것은 상대적으로 접근하면 되겠다라는 감이 생기기에 기본서를 공부하다가 막히시는 부분은 기출을 통해 보완하시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