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행정학질문게시판

글 정보
제  목 재질문 드립니다
등록일 2021-09-08 22:23:51 조회수 1,114

어제 드린 질문에 대한 재질문 드립니다


1. 조직경제학이나 구조적 상황론의 경우 조직이나 인간의 합리성을 강조하는 이론입니다. 라고 하셨는데, 조직경제학은 알겠는데 구조적 상황론은 왜 인간의 합리성을 강조하는 이론인건가요? 기본강의 다시 들어봐도 해당 내용은 나오지 않아 질문 드립니다


2. 행태론은 본래 자연과학적 접근방법을 추구하고 사회현상을 자연현상과 동일시하는 이론입니다.라고 하셨는데, 

교수님께서 W.scott의 모형에서  합리와 자연 기준으로 나눌 때의 합리는 조직의 공식목표달성을 중시, 자연은 구성원들의 개인적.비공식적 욕구 충족을 중시하는 거라고 하셨는데 이는 말씀해주신 자연과학적 접근방법과 다른 거 아닌가요? 자연보다 합리와 더 가까운 거 같아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글 정보
이전글 연봉제 질문입니다.!
다음글 2021 7급 기출 719p 17번 선지 2번

합격생조교7 (21-09-08 22:52)
안녕하세요 카스파입니다.

앞서 말씀드렸지만 질문은 원칙적으로 글 하나당 1개씩, 1일 3개까지만 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게시판을 이용하는 공동의 규칙이므로 규칙준수바랍니다.

1. 상황조직론(구조적상황론)은 조직의 합리성을 강조한다고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조직이 자신이 유리한 상황에 따라 구조와 전략이 달라져야한다는 이론으로 이는 합리성을 강조한 부분입니다. 즉 조직의 효율적, 합리적 구조는 상황변수(규모, 기술, 환경)에 따라 달라져야한다는 것입니다.

2. 행태론 자체가 "개인의 행태"를 연구한 것입니다. 행태론(X·Y이론 등 동기이론)) 이라고 되어있는것은 행태론에서 행태는  인간이나 집단의 가치관, 사고, 태도, 의견, 신념, 행동양식 등을 총칭하는 것이고 행태론은 개인의 표출된 행태(관찰가능한 외면적 행태)를 자연과학적방법으로 객관적·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합리처럼 조직의 공식목표달성을 중시하지 않았고 개인적 욕구 측면을 그 연구대상으로 한 이론입니다.

말씀하신 두질문 모두 강의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넘어간것은 그만큼 중요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지엽적인 내용으로 이러한 부분을 파고들며 공부하기보다는 A급 위주로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