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행정학질문게시판

글 정보
제  목 정태적, 동태적의 의미
등록일 2025-10-01 02:24:11 조회수 20

안녕하세요 

 

기초적 개념에 대한 질문인데요

행정학에서 정태적, 동태적이라고 할때 의미가 정태적= 안정추구, 동태적=변화추구로 해석될때도 있고 정태적= 일방향적으로 영향을 받기만함, 동태적= 양방향적, 영향을 주고받음 이란 의미로 해석되기도 하는 거 같은데 상황에 맞춰 해석하면 되는건가요?

 

예를 들어 체제론은 정태적 이론이다 =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기만하고 영향을 미치진 못함 / 신제도론에서 구제도론과 신제도론 비교할때 구제도론은 정태적(안정) 측면만을 강조, 신제도주의는 제도의 동태적(변동) 측면까지 설명 인것 처럼요

 

감사합니다

글 정보
이전글 NPM과 신공공서비스론에서의 재량
다음글 외생적, 내생적 선호

김중규교수 (25-10-01 08:03)
정태적= 안정추구, 동태적=변화추구로 해석하는 게 맞습니다.

나머지 특성들은 모두 여기서 파생됩니다. 따라서 정태적이면 변수가 없는 안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중간에 막히지 않고 일방향적으로 내리 영향을 받기만 합니다. 반면 동태적인 상황에서는 집행이 되다가 변수의 영향을 받아 정책이 수정되기도 하므로 올라가면서 영향을 준다는 의미로 양방향적이라고 하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