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족모형은 인간은 ‘인지 능력의 한계’로 모든 문제를 다 인지하지는 못한다고 설명합니다.
따라서 ‘조직의 주의집중력은 한계가 있어 일부의 사회문제만이 정책의제로 선택된다.’라는 표현을 쓴것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사이먼의 만족모형은 개인의 한계가 맞지만 2014 국가직 9급 지문또한
ㄱ. 조직의 주의 집중력은 한계가 있어 일부만이 사회 문제가 된다. 라는 동일한 표현이 사이먼의 만족모형이라고 하여 맞게 처리되었습니다.
따라서 해당표현은 만족모형의 표현으로 알아두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체제론은 ‘체제의 문제해결능력의 한계’로 인하여 문지기가 선호하는 일부 문제만 정책의제로 채택이 된다고 설명합니다. 따라서 ‘정치체제의 능력상 한계로 말미암아 사회 모든 문제가 체제 내로 투입되지 못한다고 한다.’라는 표현을 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