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행정학질문게시판

글 정보
제  목 21 7급 기출 p.189 3번 문제 3번 보기 해설 질문
등록일 2021-08-21 18:09:42 조회수 1,225

안녕하세요.

 

21 7급 기출 p.189 3번 문제 3번 보기 해설에서

행정연구의 구조기능주의에 반발하여 실용주의를 적용한 것은 발전행정론이다.

행태론은 고전적인 원리주의에 대한 반발로 등장했다.

라고 나와 있는데요,

 

여기서 '구조기능주의'와 '고전적인 원리주의'는 서로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둘이 어떻게 구별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글 정보
이전글 2022 기출 p.386 6번 문제
다음글 고위공무원 정무직공무워 질문입니다.

합격생조교7 (21-08-21 22:38)
안녕하세요 카스파입니다.

1. 구조기능주의란 비교행정론에서 제시된 개념으로 구조를 기술하고 기능을 분석하는 연구방법인데 선진국의 제도가 후진국에 도입되었을 때 허울뿐인 구조만 남고 선진국에서 본래 해내던 기능을 다하지 못함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비교행정론은 외형적 구조나 공식적인 법규가 아닌 실제 운영상태를 구조기능주의적 관점에서 비교·연구하였습니다.
발전행정론은 '1950년대 기능주의에 입각한 비교행정론은 그 정태성과 이론지향성으로 인하여 제3세계 국가의 근대화와 신생국의 조속한 국가발전을 지원하기 위한 동태적·실용적·처방적 이론으로는 부적합'하다는 지적에서 출발합니다.
그래서 비교행정론은 기능주의라면 이에 반발한 발전행정론은 실용주의에 입각했다고 표현합니다.

2. 고전적 원리주의는 윌슨 등의 고전기(기술적) 행정학을 말합니다. 행태론자 Simon이 고전적 행정원리가 경험적 검증을 거치지 않아 과학성과 보편성을 지니지 못한 속담이나 격언에 불과하다고 신랄하게 비판하였다는 점을 떠올려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