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행정학질문게시판

글 정보
제  목 합리성과 형평성 질문입니다.
등록일 2021-08-24 11:12:14 조회수 1,172

필노 기준(31)

1)어디서는 결과를 기준으로 수직과 수평을 구별하고 어디는 기회를 기준으로 수직과 수평을 구별하던데요

형평성은 문제가 나오면 기회를 기준으로 보고 판단하나요 아니면 결과를 기준으로 보고 판단하나요?

2)욕구이론은 수평+수직적 공평이지만 평등이론에 가까운 이론인가요?

 

필노 기준(32)

사이번 베버 디징 만하임의 실질적/절차적/사회적 합리성은 행동대안을 선택하기 위하여 선택된 절차가 인간의 인지능력상 한계에 비추어 봤을 때 얼마만큼 효과적이었는가의 정도고

 

사이먼 베버 디징 만하임의 기능적/내용적/형식적/기술적 합리성은 수단이 목표에 적합한지 여부인가요?

 

 

 

글 정보
이전글 2022 9급 기본서 130p
다음글 지방재정 세입구조 질문있습니다.

합격생조교7 (21-08-24 14:49)
안녕하세요 카스파입니다.

질문은 원칙적으로 글 하나당 1개씩, 1일 3개까지만 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앞으로 질문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기회를 기준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나 최근 결과를 기준으로 출제하는 경우도 빈번해지고 있어서, 문제마다 상대적으로 파악하셔야 됩니다.

2. 평등이론을 욕구이론과 실적이론의 절충으로 보는 것은 최근 문헌들의 입장이며
최신문헌을 기준으로 출제할지 기존문헌을 기준으로 출제할지는 출제자의 마음이기에 관련 문제를 접하신다면 다른 선지들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상대적으로 접근하시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 같습니다. 필노31 그림은 최근문헌을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이전 같은 질문에 대한 교수님 답변 전달드립니다.

전에도 욕구이론과 평등이론은 밀접히 근접된 이론으로 보긴 했지만 전에는 욕구이론을 평등이론과  실적이론의 절충설로 보았는데 요즘 일부 문헌(남재걸 등)에선 반대로 평등이론을 욕구이론과 실적이론의 절충으로 보기도 합니다.

상대적으로 유연하게 접근하세요

3. 네, 전자는 주관적이고 인지적 한계를 인정하는 합리성입니다. 후자는 이상적이며 수단이 목표에 적합하는지 완벽한 합리성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즉 절대적이며 이상적인 합리성을 추구하는 것이 가장 큰 차이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