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행정학질문게시판

글 정보
제  목 7급 기출 298
등록일 2021-08-24 16:00:56 조회수 1,060

기본서에서 회사모형은 불확실성을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회피한다고 배웠는데,

 

298 3번 문제 보기에서 

 

환경에 대한 대응이 수동적이지 않고 거래관행 수립이나 카르텔 등 환경을 통제할 방법을 찾는다고 되어있는데

회피한다는 걸 수동적 대응이라고 볼 수도 있지 않나요 ?

 

불확실성과 환경을 구분해서 생각해야 하나요?

 

( 불확실성 극복 안하고 회피한다. O / 환경에 대한 대응은 수동적이지 않고 통제할 방법을 찾는다.O)

이렇게만 알아둘까요? 시험이 얼마 안남아서..  

 

P.s 그리고 실례가 안된다면 지방직까지 약 한달 좀 넘게 남은 시점에서 어떻게 공부하셨는지 여쭤보고 싶어요.

저는 교수님 커리를 입문1회독 기본서2회독 기출6회독 동형모의2회독 헷총1회독 한 상태인데 

그래도 아직 게속 틀리는 문제는 틀리고 외워도외워도 게속 외울 게 나와서 미칠 것 같아요 ㅠ 

(Abcd 다 잡고 가려고해서 그런지..) 지금 기출게속회독하면서 틀린문제 낯선 지문들 파고 있는데 .. 

시험 전 하루는 어떤걸 위주로 봐야할지 등등.. 조교님께 자문을 얻고 싶습니당 ㅠㅠ감사합니다!

글 정보
이전글 2021 7급 기출 질문입니다.
다음글 2022 9급 기본서 130p

합격생조교7 (21-08-24 21:14)
안녕하세요 카스파입니다.

정정길 교수님은 '고전경제이론에서는 환경을 외생변수로 간주하여 회사가 환경에 대해 예측을 하면서 이에 따라 수동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전제로 한다. 하지만 회사모형은 환경의 불확실성을 제거하기 위해 환경을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라고 정의하고 계십니다. 그렇기 때문에 회사모형은 고전경제이론에 비해서는 환경에 대해 적극적으로(능동적으로) 통제(대응)한다고 보는 것입니다.

다만 불확실성을 ‘해결’하려고는 하지 않습니다. 회사모형은 합리모형에서처럼 예측을 통하여 불확실성을 ‘극복’하려는 것이 아니라 불확실성을 ‘회피’하려 합니다.

즉 불확실성 회피가 소극적 대처인 것은 맞지만, 회사모형은 환경에 수동적인 대응이 아니라 능동적인 대응을 하는 것입니다.

+ 사람마다 본인에게 맞는 공부방법이 있기에 뭐가 맞는방법이다라고 단정지어 말씀드릴 수는 없지만 시험이 다가올수록 본인이 헷갈리는 부분을 확실히 알고 넘어가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만 그렇다고 c,d급을 자주틀린다하여 지엽적인 내용들까지 신경쓰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저는 지금까지 기출문제집 문제중에 반복적으로 틀리는 내용을 표시해두고 a,b급+반복적으로 틀리는 내용 위주로 기출문제집과 필기노트를 이용하여 회독을 하였습니다. 시험이 다가올수록 회독을 돌리는 속도는 빨라져야합니다.
헷총의 경우 기출을 풀때는 알지 못했던 헷갈리는 내용들을 정리하는 정도로 동형모고는 시험장에서 감을 익히기 위해 푸는 정도로 사용하였고 회독 교재는 주로 기출문제집과 요약노트 등을 중심으로 빠르게 회독하시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