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문제의 구조화란 3종오류를 방지하여 정책문제를 올바로 정의하려는 노력을 말하는 것으로 W.Dunn은 문제를 구조화하는 단계를 ① 문제의 감지(sensing), ② 문제의 탐색(searching), ③ 문제의 정의(definition), ④ 문제의 구체화(specification) 등 4가지의 독립된 단계를 제시하였습니다. 아울러 던(Dunn)은 정책문제를 구조화가 잘된 문제, 어느 정도 구조화된 문제, 구조화가 잘 안된 문제로 분류하고 구조화가 잘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분석가는 전통적인(conventional) 방법(프로그램화된 절차를 따라 대안 탐색 및 결과 예측)을 사용한다고 하였습니다.
따라서 정책의제 설정단계에 해당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