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행정학질문게시판

글 정보
제  목 2021 김중규 선행정학 9급 371p 조직의 구조변수
등록일 2021-08-30 16:48:56 조회수 1,257

조교님 안녕하세요!

 

조직의 구조변수 중 '장소적 분산'과 관련하여 궁금한 게 생겼습니다.

 

"2021 김중규 선행정학 9급 371p 조직의 구조변수" 본문의 내용을 보면 "대체로 기계적 구조는 ···· (생략) ···· 수직적·수평적 분화의 정도, 즉 복잡성이 높고,"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질문1) 그렇다면 기본변수로서 '복잡성'의 '장소적 분산'은 조직의 구조를 어떻게 결정짓는다고 보면 되나요?

         장소적 분산이 클 수록 조직이 '기계적 구조'에 가까워지는 것으로, 반대로 장소적 분산이 작을 수록 

         '유기적 구조'에 가까워지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질문2) "2021 여다나 교재 179p 1. 조직의 구조변수"의 기계적 구조와 유기적 구조에 대한 그림 밑에

         기계적 구조는 '좁은 통솔범위', 유기적 구조는 '넓은 통솔범위'로 기재되어 있습니다.

         '좁은 통솔범위'를 '장소적 분산이 크다'로 이해하면 되나요?

         아니면 '좁은 통솔범위' 및 '넓은 통솔범위'는 '장소적 분산'과 별개의 내용인가요?   

 

글 정보
이전글 21 7급 기출 p.494 4번 문제 ㄴ보기
다음글 실적주의 신분보장

합격생조교7 (21-08-30 21:42)
안녕하세요 카스파입니다.

복잡성은 환경의 복잡성(이질성)과는 다른 구조적 복잡성으로서 복잡성에 수직적 분화와 수평적 분화 외에 장소적 분산(인적, 물적, 시설 자원이 공간적으로 분산된 정도)을 포함시키는 입장도 있습니다.
다만 일반적으로는 구조적 복잡성 즉 수직적 분화와 수평적 분화로 이해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조직의 구조변수를 생각하실 때는 모든 걸 따로따로 1:1로 생각하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수직적 분화 높음=복잡성 높음', '복잡성 높음=집권화됨', 따라서 '수직적 분화 높음=집권화'이 아니라
-수직적 분화 높음=복잡성 높음
-수직적 분화 높음=집권화됨

이렇게 정리하셔야 한다는 뜻입니다.

수직적·수평적 분화는 집권화를 초래하지만,
장소적 분산은 감독과 조정이 어려워져 분권화를 초래한다고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