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행정학질문게시판

글 정보
제  목 7급 기본서 390 페이지
등록일 2021-09-02 15:27:31 조회수 1,115

불확실한 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조직은 구조의 복잡성이 낮다고 되어있는데

 

밑에 더보기에는 환경이 불확실할수록 분화가 높다고 되어있네요 차이가 뭐죠

글 정보
이전글 7급 기출 514p
다음글 거버넌스 질문

합격생조교7 (21-09-02 20:33)
안녕하세요 카스파입니다.

교수님께서 설명하시는 불확실성-복잡성의 관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복잡성이란 계층의 수, 분업의 정도를 말하는데 환경이 불확실하면 너무 세세하게 분업을 많이 해두면 안됩니다.
식당에서 너는 청소만 해라, 안내만 해라, 주차만 해라 이렇게 분업을 해두었는데 다음 날 갑자기 주차하는 직원이 안 나오거나 전염병 때문에 손님이 한 명도 안 오거나 하면 다른 일들을 시켜야 하기 때문에 곤란하다는 것입니다.

불확실성과 조직의 구조변수의 관계를 묻는 대표적인 기출 지문들은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아질수록 조직의 공식화 수준은 높아질 것이다. [X]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집권화가 높아질 것이다. [X]
-조직환경이 불확실할수록, 분권화 정도는 높고 공식화 정도는 낮은 조직구조가 적합하다. [O]

이 정도입니다. (아직까지 불확실성-복잡성 단독 지문은 없는 것 같습니다) 기본적으로는 교수님께서 설명하시는 대로 불확실성이 커지면 복잡성이 낮아진다, "다만 수평적 분화 기준이라면 불확실성이 커지면 수평적 복잡성은 높아진다고 정리하시면 됩니다." (이때 분화의 기준은 기능의 동질성이 아닌 "흐름의 동질성"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