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행정학질문게시판

글 정보
제  목 2022 기본서 p. 172 질문입니다.
등록일 2021-09-02 21:18:05 조회수 1,002

꼭 알아두기 표에서 전통행정이론의 책임에 대한 접근 양식에서 행정인은 민주적으로 선출된 정치지도자에 반응이 무슨 의미인가요?

 

그리고 민주적으로 선출된 정치지도자에게 책임성 확보 (기출문제집 1권 p. 180) 는 무슨 의미인가요?

 

마지막으로 신공공서비스론은 방향 잡기, 노젓기 모두 다 수행하는 것이라고 봐야 하나요? 그렇다면 거버넌스로서의 협치는 신공공서비스론에서는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글 정보
이전글 기출문제집 1권 p. 179 질문입니다.
다음글 2021 서울지방 7급 모의고사

합격생조교7 (21-09-03 01:03)
안녕하세요 카스파입니다.

질문은 원칙적으로 글 하나당 1개씩, 1일 3개까지만 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앞으로 질문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전통행정이론의 경우 책임에 대한 접근양식에서 계층제적(행정인이 민주적으로 선출된 정치지도자에 반응한다)는 의미는 단순히 행정인으로서 역할만 할뿐 정치적 책임까지는 지려하지 않는다 또는 행정인으로서 계층제적 책임만 진다 정도의 의미로 해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2. 민주적으로 선출된 정치지도자에게 책임성 확보도 위와 같은 논점으로 아시면 될 것 같습니다.

3. 둘은 별개로 보고 푸셔야 합니다. 당장 신공공관리론과 뉴거버넌스도 똑같이 정부실패를 치유하기 위한 것에서 출발했지만 치유 방법(NPM-시장기법 / Gov-협치)이 서로 다르듯이, 뉴거버넌스와 신공공서비스론도 NPM에 대한 반발이라는 공통점은 있지만 그 방식이 서로 다른 것입니다.
신공공서비스론의 경우 정부는 노젓기나 방향젓기가 아닌 적극 봉사하는 정부의 역할을 강조하는 입장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