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행정학질문게시판

글 정보
제  목 409쪽
등록일 2021-09-07 11:04:57 조회수 1,308

1. 2022 기본서 409쪽 하단 표에 7가지의 이론이 거시조직론의 분류인데, 320쪽 (4)번에 개방.자연적 이론에 거시조직론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직군생태론, 제도화모형, 전략적 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만 개방.자연적 이론에 들어가고 왜 상황적응론과 조직경제학은 개방.합리이론에 들어가는 건가요? 같은 거시조직이론이 아닌 건가요?

 

2. 같은 쪽 (3)번에 행태론은 합리성을 중시하는데 왜 폐쇄.자연적 이론에 들어가나요?

 

3. w.scott의 개방.합리+개방.자연적 이론이 Waldo의 현대적 이론에 포함된다고 봐도 될까요?


글 정보
이전글 2021 9급 기출 30페이지
다음글 생태론과 체제론

합격생조교7 (21-09-07 12:30)
안녕하세요 카스파입니다.

질문은 원칙적으로 글 하나당 1개씩, 1일 3개까지만 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앞으로 질문하실때 규칙준수 바랍니다.

1. 거시조직이론이라고 모두 같은 내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 이론마다 그 내용이 다릅니다. 기본적으로 거시조직이론의 전반적인 내용들을 이해하셨다면 아시겠지만 조직경제학이나 구조적 상황론의 경우 조직이나 인간의 합리성을 강조하는 이론입니다. 반면 다른이론들은 개방 자연 모형의 특성에 가깝고요
거시조직이론이라고 된 부분에서 혼란을 겪으신 것 같은데 이는 거시조직이론 대부분이 개방자연 특성을 가진다는 의미일뿐 거시조직이론 전체가 개방자연특성을 갖는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2. . 행태론은 본래 자연과학적 접근방법을 추구하고 사회현상을 자연현상과 동일시하는 이론입니다.

3. 현대적 조직이론이라는 점에서 연결된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굳이 둘의 다른 이론을 연결하여 생각할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