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목 | 내적타당도, 외적타당도 관련 문의 | ||
| 등록일 | 2021-09-07 17:22:44 | 조회수 | 1,226 |
<2022기본서 p292, 293 날개 부분>
각각 내적 타당도 저해, 외적 타당도 저해에 두 집단 간 동질성이 확보되지 못한 경우라고 써있는데 이 부분이 이해가 가지 않아서 문의드립니다!
1.
얼리버드 선행정학 19강을 수강하고 아래와 같이 이해했습니다.
(1) 준실험: 무작위 할당X - 동질성 확보X - 내적타당도 상대적 낮음, 외적타당도 상대적 높음
(2) 진실험: 무작위 할당O - 동질성 확보O - 내적타당도 상대적 높음, 외적타당도 상대적 낮음
2.
그런데 p292, 293의 날개 부분 - 내적타당도 저해요인, 외적타당도 저해요인에서는
두 집단 간 동질성 확보가 되지 않은 경우 각각 타당도가 저해될 수 있다고 서술되어 있습니다.
의문점은
동질성 확보가 되지 않으면,,, 외적타당도는 오히려 높아지는 거 아닌가요?
왜 동질성 확보가 되지 않으면 외적타당도가 저해되는지 이해가 어려워서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이전글 | 자산특정성 |
| 다음글 | 2020국가7급 모의고사 질문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