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행정학질문게시판

글 정보
제  목 내적타당도, 외적타당도 관련 문의
등록일 2021-09-07 17:22:44 조회수 1,226

<2022기본서 p292, 293 날개 부분>

각각 내적 타당도 저해, 외적 타당도 저해에 두 집단 간 동질성이 확보되지 못한 경우라고 써있는데 이 부분이 이해가 가지 않아서 문의드립니다!

 

1.

얼리버드 선행정학 19강을 수강하고 아래와 같이 이해했습니다.

(1) 준실험: 무작위 할당X - 동질성 확보X - 내적타당도 상대적 낮음, 외적타당도 상대적 높음

(2) 진실험: 무작위 할당O - 동질성 확보O - 내적타당도 상대적 높음, 외적타당도 상대적 낮음


2.

그런데 p292, 293의 날개 부분 - 내적타당도 저해요인, 외적타당도 저해요인에서는

두 집단 간 동질성 확보가 되지 않은 경우 각각 타당도가 저해될 수 있다고 서술되어 있습니다.


의문점은

동질성 확보가 되지 않으면,,, 외적타당도는 오히려 높아지는 거 아닌가요?

왜 동질성 확보가 되지 않으면 외적타당도가 저해되는지 이해가 어려워서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글 정보
이전글 자산특정성
다음글 2020국가7급 모의고사 질문드립니다

합격생조교7 (21-09-07 20:43)
안녕하세요 카스파입니다.

내적타당도 저해는 당초부터 두 집단 간 동질성이 확보되지 못했거나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두 집단 간 동질성이 파괴되는 경우 '실험의 정확도가 저하'되는 것이라면, 외적타당도 저해는 두 집단 간 동질성이 확보되지 못하였거나 동질성은 유지되더라도 집단의 대표성 등이 부족하여 그 결과를 '일반화시킬 수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
따라서 진실험의 경우 동질성확보가 중요합니다. 동질성확보가 되지 않으면 내적타당도가 높다고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다만 동질성확보의 경우 외적타당성을 이야기할때는 그렇게 중요한 논점이 아닙니다. 동질성이 확보가 되든 되지않든 해당 집단이 일반화시킬 수 있는지가 가장 중요한 논점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동질성이 확보되지 않는다면 더 많은 경우의 실험 대상들이 있는 것이니 일반화를 시킬 수 있을 가능성이 동질성이 확보된 경우 보다는 높겠지만 그렇다고 외적타당도의 필수요건은 아닙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