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행정학질문게시판

글 정보
제  목 기출 현상학파트 p.133 1번과 2번 문제선지 질문드립니다
등록일 2021-09-10 17:57:39 조회수 1,208

안녕하세요

행태론과 형성학이 상당히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행태론은 의도된 행위=표출된 행위로 인식하고 현상의 외면 내면 의도 형태를 분리한 것까지 이해했습니다 그 후 외면적인 행태'만'을 연구하여 내면을 유추한다고 검색해서 알았는데 이 부분이 잘 이해가 가지않습니다 

 

행태론은 가치중립성을 유지하여 행태를 연구하는데 있어 가치를 배재한다고 배웠는데, 1번의 3번 선지처럼 어떻게 인간행위의 가치가 행위가 산출한 결과에 있게되는지 궁금합니다 게다가 2번의 1번선지도 마찬가지로 가치를 연구에서 배제하였는데 내면유추가 어떻게 가능한지 너무 헷갈립니다

 

감사합니다

글 정보
이전글 포스트모더니티
다음글 지7 모고 49페이지 16번

합격생조교7 (21-09-10 18:12)
안녕하세요 카스파입니다.

1. 먼저 행태론과 현상학은 다른 이론이며 현상학은 행태론의 반발로 등장한 이론입니다.
2번의 1번 선지의 경우 현상학에 대한 설명입니다. 행태론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는 말씀입니다. 현상학은 행태론과달리 「현상에 대한 개개인의 내면적인 의식이나 지각으로부터 그의 행태가 나온다고 주장하며 따라서 표출된 외면적 행태보다는 행위자의 내면적인 의도가 결부된 ‘의미있는 행태(meaningful behaviour)’를 연구해야 한다는 철학적·심리학적 접근방법」을 의미합니다. 즉 현상학은 의도된 행위와 표출된 행위는 다르다고 보고 "의도된 행위(행동)를 중시"한다는 것입니다.

2. 반면 행태론의 경우 1번의 3번선지 인간행위의 가치는 행위 자체보다 그 행위가 산출한 결과에 있다. 에서는 다음과 같이 이해하셔야 합니다. 인간행위는 "행위자체"(action, 인간의 내면 의도된 행위 그자체) 보다는 그 행위가 산출한 결과(behavior, 외적으로 보인 행태, 표출된 행위)에 초점을 둔다는 의미로 해석하셔야 합니다.
따라서 해당 선지는 행태론에 대한 설명이 됩니다.

그리고 근본적 질문 외면적인 행태'만'을 연구하여 내면을 유추한다는 것은 내면은 그 연구대상이 아니며 연구대상이 아니기에 유추(짐작)하는 정도밖에 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중요한것은 행태론의 연구대상은 외면적인 행태라는 것입니다.

*현상학에 관한 기본서 내용
현상학은 행태(behaviour)가 아닌 행위(action) 중시
① 표출된 행위와 의도된 행위는 다르므로 현상을 분해(주관과 객관, 내면과 외면,
가치와 사실 등)하여 개개인의 외면적 행태만을 연구하는 것이나 기존의 선입견
에 의한 판단은 무의미함. 
② 인간행동의 의미와 동기, 즉 의도가 결부된 ‘행위’(의미있는 행동)와 ‘타인과의 사
회적 상호작용(사회성)’을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