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터와 롤러의 업적만족이론, 브룸의 기대이론과 달리 만족이 성과를 유발한다고 보는 종래의 욕구이론의 예시에는
매슬로우의 욕구계층이론, 알더퍼의 ERG이론, 허즈버그의 욕구충족 2개요인 이론 등이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매슬로우는 생안사존자를, 알더퍼의 ERG를, 허즈버그는 만족요인을 만족해야 동기가 유발된다고 본 것입니다.
하지만 포터와 롤러의 업적만족이론에서 기존과 달리 '업적->만족' 순으로 이루어진다는 포인트가 중요한 것이고, 그 기존 이론에 어떤 것이 해당하고 해당하지 않는지는 중요 출제 포인트는 아니므로 가볍게 생각하셔도 충분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