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행정학질문게시판

글 정보
제  목 분업의 원리
등록일 2025-11-10 16:59:32 조회수 9

안녕하세요

 

1. 조직 구조의 주요원리에서 분업의 원리(전문화의 원리)는 수직적 분업과 수평적 분업이 모두 포함되는 의미잖아요 그리고 이와 별도로 계층제의 원리=수직적 분업의 일종이라고 되어있는데 그럼 계층제의 원리가 분업의 원리에 포함된다고 생각하면 되나요?

 

2. 통솔범위와 관련해서 문제를 풀때 계층이 많아지면 통솔범위가 좁아지잖아요 이 말은 수직적 분업이 촉진되면 통솔범위가 좁아진다는 것인데, 그럼 수평적 분업과 통솔범위의 관계는 어떻게 되는 것인가요?

 

3. 2024년 국회 9급 문제에서 '분업이 촉진될수록 통솔범위가 확대되어 명령,지휘,통솔,통합상 문제가 야기될 가능성이 있다'는 지문이 맞는 지문으로 나왔는데 여기서'분업'은 무엇으로 봐야하는 건가요?

사실상 분업에는 수직적 분업도 포함되는 것이니까 '분업이 촉진될수록 통솔범위가 확대된다'는 틀린 부분이 아닌가요?ㅠㅠ

아니면 이 분업을 수평적 분업(일반적 의미의 전문화)로 봐야하는 것인가요?

'분업의 원리'를 이야기할때 일반적으로 수평적 분업을 생각해야하는 것인지 수직적 분업(계층제)까지 포함해서 생각해야 하는 것인지 헷갈립니다.

 

4. 게시판 질문들을 보면 수평적 복잡성이 높아지면 통솔범위가 좁아진다는데 그럼 위에 문제에서 나오는 '분업이 촉진되면 -> 통솔범위가 넓어진다', '수평적 복잡성 높아지면-> 통솔범위 좁아진다' 인가요?

저는 분업촉진= 수평적 복잡성 높아짐이 같은 의미로 생각되는데 통솔범위 측면에서 다르게 설명되니 너무 어려워요

글 정보
이전글 정책공동체와 이슈공동체
다음글 2026 기출 483p.g 처장, 총장등의 직위의 신분에서 질문있습니다.

김중규교수 (25-11-10 20:55)
1. 일반적으로 그렇게 보지는 않지만 분업의 원리를 아주 넓게 본다면 계층제의 원리가 분업의 원리에 포함된다고도 할 수 잇습니다.

2. 수평적 분업도 많이 이루어지면 통솔범위가 좁아집니다. 유기적 구조처럼 수평적 분업이 줄어들면 통솔범위가 넓어지구요

3. 분업의 원리'를 이야기할때 일반적으로 수평적 분업을 생각해야 합니다.

4. 거기에서 '분업이 촉진되면 -> 통솔범위가 넓어진다'는 말은 통솔가능범위가 넓어진다는 말이 아니라 통솔해야할 범위가 넓어진다...고로 통솔이 결국 어려워진다는 말입니다. 

3.